아도(어도,여도)
前面不能加時制詞尾“겠”。
1)表示假設性的讓步,即姑且承認甲事實(是一種假設或估計的情況),但不影響乙事實。相當于漢語的“即使…也…”。如:
그가 와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他就是來,也解決不了問題。
그것은 물어보지 않아도 뻔한 일이지요. 那件事就是不問也很清楚。
좋은 물건이어도 나는 사지 않겠다. 就是好東西,我也不會買。
2)表示現(xiàn)實性的讓步,即肯定現(xiàn)實中存在的甲事實,但也不影響乙事實。相當于漢語的“盡管…也…”。如:
는은 와도 날씨는 춥지 않다. 盡管下雪,但天氣不冷。
몇번 보아도 잘 모르겠습니다. 盡管看了幾遍,也看不懂。
키는 크지 않아도 힘은 세다. 盡管個子不大,力氣卻很大。
辣椒盡管很小,但很辣。
這時前面還可加“아무리(암만)”,構成“아무리(암만)…아도(어도,여도)…否定性謂語”這一形式,表示“不管怎么…也(還)…”。如:
아무리 타일러도 듣지 않습니다그려. 不管怎么勸也不聽。
암만 생각하여도 생각해낼 수 없다. 不管怎么想也想不出來。
3)表示一種讓步性的原因。如:
역사적인 교훈을 생각하여도 원쑤에 대하여 경각성을 늦출 수 없는 것이다. 只要是想到歷史的教訓,也就不能對敵人放松警惕。
4)表示并列的兩種行動、狀態(tài)雖互不相同,但其結果一樣。這時“아도(어도,여도)”要重復使用。如:
그런것쯤이야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那種東西有也行,沒有也行。
너는 가도 괜찮고 안가도 괜찮다. 你去也行,不去也沒關系。
다 본 영화인데 다시 한번 구경해도 좋고 않해도 좋다.
看過的電影,再看一次也好,不看也好。
5)表示強調,所用的謂詞要重復使用。如:
금철은 일을 하여도 잘합니다. 今哲干活干得真好。
그 애는 노래를 불러도 참 잘 부릅니다. 那小孩唱歌唱得真好。
根據(jù)具體上下文,它也可理解為兩事相提并論。如:
그 애는 (춤을 추어도 참 잘 추지만) 노래를 불러도 참 잘 부릅니다.
那小孩(舞也跳得好)歌也唱得好。
前面不能加時制詞尾“겠”。
1)表示假設性的讓步,即姑且承認甲事實(是一種假設或估計的情況),但不影響乙事實。相當于漢語的“即使…也…”。如:
그가 와도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他就是來,也解決不了問題。
그것은 물어보지 않아도 뻔한 일이지요. 那件事就是不問也很清楚。
좋은 물건이어도 나는 사지 않겠다. 就是好東西,我也不會買。
2)表示現(xiàn)實性的讓步,即肯定現(xiàn)實中存在的甲事實,但也不影響乙事實。相當于漢語的“盡管…也…”。如:
는은 와도 날씨는 춥지 않다. 盡管下雪,但天氣不冷。
몇번 보아도 잘 모르겠습니다. 盡管看了幾遍,也看不懂。
키는 크지 않아도 힘은 세다. 盡管個子不大,力氣卻很大。
辣椒盡管很小,但很辣。
這時前面還可加“아무리(암만)”,構成“아무리(암만)…아도(어도,여도)…否定性謂語”這一形式,表示“不管怎么…也(還)…”。如:
아무리 타일러도 듣지 않습니다그려. 不管怎么勸也不聽。
암만 생각하여도 생각해낼 수 없다. 不管怎么想也想不出來。
3)表示一種讓步性的原因。如:
역사적인 교훈을 생각하여도 원쑤에 대하여 경각성을 늦출 수 없는 것이다. 只要是想到歷史的教訓,也就不能對敵人放松警惕。
4)表示并列的兩種行動、狀態(tài)雖互不相同,但其結果一樣。這時“아도(어도,여도)”要重復使用。如:
그런것쯤이야 있어도 되고 없어도 된다. 那種東西有也行,沒有也行。
너는 가도 괜찮고 안가도 괜찮다. 你去也行,不去也沒關系。
다 본 영화인데 다시 한번 구경해도 좋고 않해도 좋다.
看過的電影,再看一次也好,不看也好。
5)表示強調,所用的謂詞要重復使用。如:
금철은 일을 하여도 잘합니다. 今哲干活干得真好。
그 애는 노래를 불러도 참 잘 부릅니다. 那小孩唱歌唱得真好。
根據(jù)具體上下文,它也可理解為兩事相提并論。如:
그 애는 (춤을 추어도 참 잘 추지만) 노래를 불러도 참 잘 부릅니다.
那小孩(舞也跳得好)歌也唱得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