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子曰 學(xué)而時(shí)習(xí)之 不亦說乎 有朋自遠(yuǎn)方來(lái) 不亦樂乎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學(xué)而 1)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 지방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2.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wèi)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xí)乎 (學(xué)而 4)
증자가 말씀하셨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내 몸을 살피나니, 남을 위하여 일을 도모해 줌에 최선을 다하지 않았는가? 붕우와 더불어 사귐에 성실하지 못했는가? 전수받은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 이다.”
3. 子曰 君子 食無(wú)求飽 居無(wú)求安 敏于事而愼于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xué)也已 (學(xué)而 1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할 때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민첩히 하고 말을 삼가며, 도가 있는 이에게 나아가서 질정한다면 학문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xué) 三十而立 四十而不或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爲(wèi)政 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고, 마흔 살에 혹하지 아니하였고, 쉰 살에 천명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도 법도에 넘지 않았다.”
5. 子夏曰 博學(xué)而篤志 切問(wèn)而近思 仁在其中矣 (子張 6)
자하가 말하였다. “배우기를 널리 하고 뜻을 독실히 하며, 절실하게 묻고 가까이 생각하면 인이 그 가운데 있다.”
6. 子曰 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勘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 (雍也 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구나,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음료로 누추한 거리에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배우고 그것을 때때로 익히면 기쁘지 않겠는가. 벗이 먼 지방으로부터 찾아온다면 즐겁지 않겠는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더라도 서운해 하지 않는다면 군자가 아니겠는가.”
2. 曾子曰 吾日三省吾身 爲(wèi)人謀而不忠乎 與朋友交而不信乎 傳不習(xí)乎 (學(xué)而 4)
증자가 말씀하셨다. “나는 날마다 세 가지로 내 몸을 살피나니, 남을 위하여 일을 도모해 줌에 최선을 다하지 않았는가? 붕우와 더불어 사귐에 성실하지 못했는가? 전수받은 것을 익히지 않았는가? 이다.”
3. 子曰 君子 食無(wú)求飽 居無(wú)求安 敏于事而愼于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xué)也已 (學(xué)而 1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않으며, 거처할 때에 편안함을 구하지 않으며, 일을 민첩히 하고 말을 삼가며, 도가 있는 이에게 나아가서 질정한다면 학문을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xué) 三十而立 四十而不或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爲(wèi)政 4)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 자립하였고, 마흔 살에 혹하지 아니하였고, 쉰 살에 천명을 알았고, 예순 살에 귀로 들으면 그대로 이해되었고, 일흔 살에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따라도 법도에 넘지 않았다.”
5. 子夏曰 博學(xué)而篤志 切問(wèn)而近思 仁在其中矣 (子張 6)
자하가 말하였다. “배우기를 널리 하고 뜻을 독실히 하며, 절실하게 묻고 가까이 생각하면 인이 그 가운데 있다.”
6. 子曰 賢哉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勘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回也 (雍也 9)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질구나, 안회여! 한 그릇의 밥과 한 표주박의 음료로 누추한 거리에 사는 것을 다른 사람들은 그 근심을 견뎌내지 못하는데, 안회는 그 즐거움을 바꾸지 않으니, 어질구나, 안회여!”